
(1편에서 이어집니다) 모바일 어트리뷰션 툴의 장점 4. 프로드 방지 및 차단 프로드에 대해서는 사실 다뤄야 할 정의도, 문제도 많기 때문에 별도의 포스팅으로도 2-3개 분량을 꽉 채워야 할 정도입니다. 여기서는 거두절미하고 글의 목적에 부합하는 내용에 대해서만 다루겠습니다. 앞 글에서 어트리뷰션 툴을 사용하면 프로드 발생으로 인한 손실액을 정산하지 않기 위해 매체와 커뮤니케이션하는 과정에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사실 이보다 앞서 대부분의 어트리뷰션 툴은 자체 프로드 탐지 및 차단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즉, 어트리뷰션 툴을 통해 집계된 각종 전환 수는 이미 프로드가 어느 정도 걸러진 '깨끗한' 수치입니다. 이외에도 추가 비용을 지불하면 광고주가 직접 프로드 기준을 사용자 정의할 수도 있고, 더 심..

어트리뷰션의 정의를 이해했다면, 이제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알아볼 차례입니다. 앱 설치나 각종 전환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기 위해 대부분 주요 광고 매체는 자체 리포팅과 대시보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광고주(브랜드)는 광고 비용, 조회 수, 클릭 수, 각종 광고 단가(CPI, CPA, CPC, CPM 등), 클릭률, 전환율 등 광고 성과를 확인합니다. 그런데 바로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는 광고를 집행하는 매체가 본인의 성과를 정리해 직접 보고하는 방식이므로, 성과를 부풀리거나 과장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매체 측에서 고의로 성과를 부풀리지 않더라도, 프로드(광고 사기)로 인해 다른 매체의 성과를 갖고 오거나 중복 집계하는 등의 오류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모바일 마케팅 업계에 ..

마케팅 쪽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트리뷰션(Attribution)이라는 단어를 들어봤을 것입니다. 그런데 어트리뷰션의 정의를 물어보면 과연 몇 명이나 제대로 설명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어트리뷰션은 상당히 복잡하고 기술적인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영한사전에서 이 단어를 찾아보면 ‘귀속’ 또는 ‘귀인’이라는 단어를 맞닥뜨리게 됩니다. 한글 단어라고는 해도 한자어고, 직관적으로 의미가 와 닿지 않습니다. 다시 귀속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아래와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재산이나 영토, 권리 따위가 특정 주체에 붙거나 딸림” 여전히 마케팅과는 별로 관련이 없어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귀인을 검색해보겠습니다. “어떤 행동을 보고나서 많은 가능한 행위 원인들 가운데 어느 원인을 그 행동에 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