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글에서는 2021년에 주목해야 할 주요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를 정리했습니다. 작년 초부터 확산한 코로나 바이러스 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뉴 노멀'에 적응하는 일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는 광고 및 마케팅 업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작년과 올해 초에 걸쳐 향후 몇 년동안 디지털 마케팅 업계의 향방을 결정할 몇 가지 변화와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그 영향과 효과는 현재 진행형인 경우도 있고, 아직은 가시적인 결과가 드러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설령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고 앞으로 더욱 가속화할 것입니다. 1. 오디오 마케팅 2021년 말까지 음성을 활용한 마케팅이 더욱 활발해질 것입니다. 단순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비대면이 '뉴 노멀'이 되었기 때문만은..

우리나라의 디지털 마케팅 대행 시장은 상당히 파편화되어 있습니다. 글로벌 대행사나 로컬 대행사 몇 곳이 시장을 과점한 나라들과는 달리 한국에는 수많은 대행사가 공생하고 있습니다. 역사가 길고 규모가 큰 대행사들이 있는가 하면, 접근 장벽이 낮은 디지털 마케팅 분야에는 신생 대행사들도 많습니다. 개중에는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사도 있지만, 특정 분야나 매체에 특화된 대행사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광고 및 마케팅 대행사를 정리해봤습니다. 국내 광고 마케팅 대행사 종류 한국의 대행사를 설명할 때 보통 종합대행사, 검색 기반 온라인 대행사, 디지털 마케팅 대행사(렙사), 바이럴 마케팅 대행사 등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몇 년 전부터 대행사들 간의 경계는 점차 흐려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웹툰을 중심으로 웹툰 마케팅의 현황과 사례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2000년대 중반 등장한 웹툰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왔고, 웹툰 작품도, 웹툰을 즐기는 사람들도 다양해졌습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웹툰 플랫폼으로는 네이버 웹툰, 다음 웹툰, 카카오페이지, 레진 코믹스, 태피툰 등이 있습니다. 이중 광고 상품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플랫폼은 단연 네이버 웹툰과 다음 웹툰입니다. 이중에서도 독자 수, 영향력, 파급력, 광고 상품의 활용도 등을 고려할 때 웹툰 시장의 절대강자는 네이버 웹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웹툰 앱은 한국에서 이용 시간이 가장 긴 앱 10위 안에 들 정도로 큰 인기와 충성도를 자랑합니다. 2019년, 네이버 웹툰의 글로벌 MAU는 5,500만명을, 국내 M..

최근 몇 년 사이 연예인을 기용한 스타트업 마케팅이 부쩍 늘었습니다. 모델의 이미지를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에 단편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있는가 하면, 옥외 광고와 TV 광고까지 활용해 대규모 브랜딩 캠페인을 벌이기도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스타트업의 셀럽 마케팅 사례와 이에 대한 짧은 생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마켓컬리의 '전지현' 효과 2016년, 마켓컬리가 아직 작은 스타트업이던 시절. 어느 강연에서 대표님과 초기 멤버 5명을 만나 짧게 인사를 나눈 적 있었습니다. 식품 배송 사업을 한다는 이야기에 마음속으로 "그게 과연 잘 될까?"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 후 몇 년간, 마켓컬리는 놀라운 속도로 성장을 거듭했고 인지도도 높아졌습니다. 주요 일간지 1면에 마켓컬리 대표님의 기사가 실리고..

퍼포먼스 마케팅 캠페인에서 광고 소재는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광고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매력적이고 눈에 띄는 소재를 게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연히 마케터는 다양한 소재를 기획해야하는 것은 물론, 때로는 소재를 직접 제작하기도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중 제작 부분에 초점을 맞춰, 캠페인 준비 과정에서 광고 소재를 어떻게 만드는지를 다루고자 합니다. 이 과정에서 마케터가 간단하게 다루면 좋을 디자인 툴과 알아두면 도움이 될 광고 배너 제작 툴 등을 다루고자 합니다. 광고 소재의 정의와 중요성 광고를 운영하려면 사람들에게 보여줄 시각물을 제작해야 합니다. 이를 광고 소재 또는 크리에이티브(creative)라고 합니다. 소재는 단순한 텍스트의 나열일 수도 있고, 정적인 이미지이거나 동적..

이전 글에서 다뤘듯 퍼포먼스 마케터는 직업으로써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낮은 진입 장벽과 빠른 성장 기회, 마케팅 경험치 획득 등의 이유를 들었었는데요. 주변 이야기를 들어보면 퍼포먼스 마케터 취업을 고민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어려움을 겪는 분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취준생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모아 신입 퍼포먼스 마케터로 취업하는 방법을 이야기하려 합니다. 목차 1. 퍼포먼스 마케터 인턴으로 경험 쌓기 2. 퍼포먼스 마케터로 바로 취업하기 3. 퍼포먼스 마케터 연봉 관련 정보 4. 퍼포먼스 마케터 취업 전 주의할 점 퍼포먼스 마케터 인턴으로 경험 쌓기 대학교 졸업과 함께 취업을 준비하면서 참 이상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이 있습니다. 대부분 회사가 사람을 뽑을 때 경력자..

퍼포먼스 마케팅에서는 마케팅 전략을 잘 짜는 것만큼이나 미디어 믹스를 잘 짜는 것도 중요합니다. 어떤 매체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에 따라 마케팅 캠페인 전체의 성과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케팅 캠페인 시작 전 필수 단계라고 할 수 있는 미디어 믹스를 구성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다루고자 합니다. 마케팅 미디어 믹스 정의 미디어 믹스(Media Mix)는 전략적이고 효율적인 광고 운영을 위한 일종의 계획안으로, 어떤 광고 매체에 예산을 얼마나 배정하고 해당 매체를 어떻게 활용할지 등의 내용을 포함합니다. 미디어 믹스를 만드는 과정은 단순히 계획안 파일을 만드는 과정이 아니라 실제로 마케팅 캠페인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입니다. 미디어 믹스를 효과적으로 짜려면 가장 먼..

처음 퍼포먼스 마케터로 일하기 시작한 무렵에는 마케팅 타겟에 대해 깊게 고민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정해진 예산을 알맞게 사용하고 앱 인스톨 수만 꾸준히 늘리면 일 잘한다고 칭찬을 듣던 시절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눈 가리고 아웅 식으로 마케팅을 하던 시대는 오래 전에 지나갔습니다. 이제는 퍼포먼스 마케팅을 통해 성과를 내야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고, 마케팅 운영 앞단의 작업까지 더해 성과의 성과를 높여야 하는 시대입니다. 이 대목에서 등장하는 것이 바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입니다. 사전적 정의 그대로 세분화 즉, 대상을 자세하게 나누어 보는 작업입니다. 세분화를 잘해야 어떤 집단이 우리 서비스와 프로덕트에 진짜로 관심있는지, 전환할 확률이 높은지를 예측하고 타겟팅을 잘 할 수 있습니다...